1. 키
(1) 개요
- 키 공간의 크기. 가능한 키의 총 수는 크면 클수록 무차별 공격에 강하다.
- 키는 평문과 같은 가치를 갖는다.
(2) 다양한 키
1) 세션키와 마스터키
- URL이 HTTPS로 시작되는 페이지 접속하면 SSL/TLS에 의해 암호화된 통신이 수행된다.
- 세션 키 : 통신 마다 새롭게 만들어지는 키
- 마스터 키 :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키
2) CEK 와 KEK
- CEK : 사용자가 직접 이용하는 정보(콘텐츠)가 암호화의 대상이 된다. 이때 사용하는 키를 Contents Encrypting Key라 부른다.
- KEK : 키를 암호화하는 키를 Key Encrypting Key라 부른다.
(3) 패스워드를 기초로 한 암호(PBE)
1) 솔트의 역할
- 솔트는 소금이라는 뜻. 의사난수 생성기로 만들어지는 랜덤한 수, 키를 만들 때 패스워드와 함께 일방향 해시함수에 입력된다.
- 사전공격을 막기 위해 존재.
* 패스워드 저장 시 솔트가 적용된 안전한 해시함수를 사용해야 하며 해시함수 실행은 서버에서 해야 한다
* 솔트는 단방향 해시함수에서 다이제스트를 생성 할 때 추가되는 바이트 단위의 임의의 문자열이다. 그리고 이 원본 메시지에 문자열을 추가하여 다이제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솔팅이라 한다
2. 난수
(1)난수의 용도
1) 난수는 암호기술 중에서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
- 키의 생성 : 대칭키 암호나 메시지 인증 코드에서 사용한다
- 키쌍의 생성 : 공개키 암호나 전자서명에서 사용
- 초기화 벡터(IV) 의 생성 : 블록 암호 모드인 CBC, CFB, OFB
- 솔트의 생성 : 패스워드를 기초로 한 암호화 등에서 사용
- 일회용 패드 : 패딩에 사용되는 열을 생성하는데 사용
2) 의사난수 생성기
- 하드웨어로 난수를 생성할 경우, 열이나 음의 변화처럼 예측이나 재현이 사실상 불가능한 자연 현상을 센서로 감지해서 그 결과를 기초로 난수열을 생성한다. 이와 같은 하드웨어를 난수생성기(RNG, random number generator)라 부른다.
- 구조
: 의사난수 생성기는 내부상태를 가지며, 외부에서 주어진 종자(seed)를 기초로 의사난수열을 생성한다. 내부상태라고 하는 것은 요컨대 의사난수 생성기가 관리하고 있는 메모리 값을 말한다.
'정보보안기사 > 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00324_접근통제 보안 모델 (0) | 2020.03.24 |
---|---|
200200323_사용자 인증 (0) | 2020.03.24 |
20200319_전자서명과 PKI (0) | 2020.03.20 |
20200318_해시함수와 응용 (0) | 2020.03.18 |
20200314_정보보호 개요 (0) | 2020.03.18 |